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요즘 새마을금고 부실지점과 파산관련기사가 정말 많이 나오는데요. 불안한 소비자들이 적금을 해약한돈만 벌써 7조원이 넘었다고하죠. 뱅크런에 대한 이야기도 심심치않게 들리고있는데 도대체 뱅크런은 무엇인지 새마을금고 파산에 관한이야기는 어떤건지 같이한번 살펴보는시간을 가져보도록하겠습니다.

    새마을금고 파산? 뱅크런
    새마을금고 파산? 뱅크런

    뱅크런이란?

    뱅크런이란 은행의 지급능력이나 예치금의 안전을 우려해 다수의 예금자가 동시에 은행에서 자금을 인출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예금자들이 은행에 대한 신뢰를 잃고 돈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두려움이 생길 때 발생하는 금융 공황의 한 형태입니다. 은행 운영은 일반적으로 은행이 재정적 어려움이나 파산에 직면할 수 있다는 소문, 뉴스 또는 징후가 있을 때 발생합니다.

    뱅크런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은행이 재정 문제를 겪고 있다는 소문이나 뉴스 보도와 같은 트리거 이벤트로 시작됩니다. 이 정보는 예금자 사이에 빠르게 퍼져 은행이 재정적 의무를 이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신뢰를 잃게 됩니다. 두려움과 공황이 확산되면서 예금자들은 예금을 보호하기 위해 서둘러 자금을 인출했습니다.(벌써 4달전부터 새마을금고 부실지점에 대한 목소리가 나왔는데 이제와서 수습하려니... 이지경까지왔네요)

    자금을 인출하는 초기 예금자들은 모두가 한꺼번에 인출하려고 하면 돌릴 돈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는 믿음에서 인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출 쇄도가 은행의 유동성에 부담을 주고 잠재적으로 파산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자기 충족적 예언을 만듭니다. 인출을 목격하고 은행의 파산을 두려워하는 예금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자금을 인출하기 위해 서두르고 있어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습니다.

    뱅크런의 결과는 심각할 수 있습니다. 은행이 인출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유동 자산이나 준비금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지급 불능 상태가 되어 예금자에 대한 의무를 이행할 수 없게 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예금자의 자금 손실이 발생하고 금융 시스템에 파급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른 은행도 신뢰와 경험의 상실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새마을 금고 위기설 4달 방치 뱅크런 사태 키우다

    이미 새마을금고 부실지점에 관한 이야기는 4달전부터 나오기 시작했는데요. 처음은 남양주시의 동부새마음금고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해당 금고는 600억원 규모의 대출채권 부실이 밝혀졌는데요. 이번사태의 원인으로는 부실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대출 (PF)때문이라고합니다.  말그대로 현재 부동산 경기침체인데도 불구하고 부동산 관련 업종에 대출을 많이 해줘서 이사태가 나게된거죠. 2018년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1.35%인데반해 현재 6.18%까지 올라간점이 문제입니다. 지난해 말과 비교해도 3.59% 6%라면 두배가까이 올라갔다면?

    하지만 현재  새마을금고측에서도 공고문을 발표하였고  5월말기준 상환준비금등 총 77조 3000억원 예금자보호준비금 2조 6천억원을 보유중이란 발표를 했는데요. 글쎄요..  만약 돈을 받긴 예금자입장에서는 단 1%만 은행이 망한다는 소식이 있다면 얼마를 보유하고있다고 발표를해도 예적금을 넣은 고객의 입장에서는 불안하지않을까요? 인 대처를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도 남습니다. 현재 새마을금고 측은 7월7일 공고문을 발표해 기존에 해지한 새마을금고 이용자들의 원금과 이자를 복원하고 비과세 혜택도 그대로 유지하는등 국민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정책과 수단을 활용할것이라고 발표했는데요. ( 자세한내용은 아래 공고문 참조)

    새마을금고 홈페이지 공고문 바로가기

    새마을금고 부실지점 문제는 일부 지점에 관한 이야기는 맞긴합니다만 새마을 금고 거래자수가 2200만명이나 되는시점에서 좀 처음부터 적극적으로 대처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반응형